
[블록체인투데이 한지혜 기자]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 랠리는 과거와 같은 ‘기대감’이 아닌 미국의 재정 적자 확대에 대한 거시적 대응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3일(현지 시각)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리서치 기관 10x의 리서치 총괄 마르쿠스 티엘렌(Markus Thielen)은 매체에 공유한 분석 노트에서 “이번 비트코인 랠리는 단순한 기술 트렌드나 과장된 서사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다. 미국 재정의 무책임한 운용을 헤지하려는 거시 전략 자산으로서의 역할이 강화된 결과”라고 평가했다.
티엘렌은 “이제 더 이상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이나 유스케이스에 대해 말하는 사람은 없다”며 “비트코인은 이제 무분별한 적자 지출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자리매김한 매크로 자산이 되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최근 통과된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의 ‘원 빅 뷰티풀 빌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 OBBBA)’을 언급했다. 이 법안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인 5조 달러의 부채 상한 증액을 포함하고 있으며, 당초 2조 달러의 적자 감축을 약속했지만 오히려 2.3~5조 달러의 적자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최대 7조 달러 규모의 재정 격차(swing)를 의미한다.
티엘렌은 “적자 지출은 멈출 기미가 없고, 연준의 금리 정책도 조만간 완화적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비트코인은 이러한 거시환경의 최대 수혜 자산”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이것은 또 하나의 암호화폐 랠리가 아니라, 기대보다 훨씬 빠르게 무너지고 있는 미국의 재정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이라며 “비트코인은 이제 금과 함께 다가오는 재정 위기를 방어할 수 있는 양대 자산으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티엘렌은 향후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이벤트들도 언급했다. 특히, 오는 7월 워싱턴 D.C.에서 열릴 '크립토 위크(Crypto Week)' 동안 △CLARITY 법안: 암호화폐 시장 규제의 명확화를 위한 법안 △GENIUS 법안: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 △반(反) CBDC 감시 국가 법안: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감시 통제를 방지하기 위한 입법 등 세 가지 핵심 법안이 의회에서 논의되거나 표결될 예정이라며 주목했다.
hjh@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