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해외뉴스

인도 집권당 대변인 "비트코인 준비금 시험 도입해야"… 美사례 언급

한지혜 기자

승인 2025-06-27 15:10:00

[블록체인투데이 한지혜 기자] 미국과 부탄 등 주요국이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채택하는 가운데, 인도 집권당 대변인이 자국도 비트코인 준비금 도입을 시범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인도는 암호화폐에 대해 과세는 하고 있지만 규제는 부재한 상태다.

26일(현지 시각)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인도 집권 인도국민당(BJP)의 전국 대변인 프라디프 반다리(Pradeep Bhandari)는 최근 인디아투데이 기고문을 통해, "비트코인 준비금 시범 사업은 인도의 경제적 회복력을 높이는 전략적 조치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확장 계획과 부탄의 국영 채굴 사업을 예로 들며 "세계 금융이 암호화폐로 이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다리는 인도가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확장 중인 점을 들어, 국영 비트코인 전략을 추진할 적절한 위치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은 무모한 전환이 아니라, 디지털 자산의 정당성을 수용하기 위한 계산된 조치”라고 덧붙였다.

현재 인도는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등 가상자산(VDA)에 대해 30%의 일률적인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소득세법 제115BBH조’에 따른 것으로, 구매 비용은 공제되지만 기타 비용이나 손실은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약 115달러(약 1만 루피)를 초과하는 모든 암호화폐 거래에는 1%의 원천징수세(TDS)가 매수자 또는 매도자 중 한쪽에서 공제된다. 하지만 이러한 과세에도 불구하고, 인도 정부는 아직 암호화폐에 대한 명확한 규제 체계를 마련하지 않은 상태다.

반다리는 “2023년 G20 의장국으로서 인도는 IMF와 협력해 암호화폐 워킹그룹을 구성했지만, 미국을 비롯한 러시아, 중국, 브라질 등 주요국은 이미 각자 독자적으로 암호화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은 예산 중립적인 방식으로 비트코인 준비금을 확장하겠다는 방침을 세웠으며, 일부 주에서는 이미 비트코인을 준비자산으로 승인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반다리는 인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명확한 규제 도입과 함께 국가 차원의 비트코인 준비금 시범사업을 제안했다. 그는 규제 명확성이 투자자 보호와 함께 투명성을 높이고, 동시에 암호화폐 관련 기술 혁신도 이끌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고문에서 “인도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며 “준비금 시범사업과 같은 신중한 비트코인 전략은 경제적 회복력을 강화하고, 인도의 현대적인 이미지를 투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hjh@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