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투데이 디지털뉴스팀] 뉴스1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비기축 통화국에서 외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널리 활용될 경우 환율 변동성과 자본 유출입이 확대되는 등 외환 리스크가 증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은은 25일 발표한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국내외에서 스테이블 코인 제도화가 이뤄질 경우 금융 시스템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고경철 한은 전자금융팀장은 이날 설명회에서 "스테이블 코인은 환급에 대비해 고유동성 자산(예금, 단기 국채 등)으로 준비자산을 구성하게 되며, 민간이 발행할 경우 금융시장 충격 시 코인런(대규모 인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고 팀장은 "이때 준비자산이 급히 매각되면 파이어세일 등으로 기존 금융시장 리스크 연계·전이 가능성이 커진다"고 우려했다.
한은은 최근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경계심을 거듭해서 비치고 있다.
유상대 한은 부총재도 전날 기자 간담회에서 "기본 취지와 혁신 가능성에는 공감하나, 지급·결제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중앙은행으로서는 조금 염려가 있다"면서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은 은행을 중심으로 허용하고 비은행권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말한 바 있다.
한은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의 국제 시가총액은 지난 5월 말 2309억 달러에 달했다. 현재 환율로 314조 원에 이른다.
한은은 스테이블코인 확산에 따른 위험 중 하나로 스테이블코인의 가치 안정성과 준비자산에 대한 신뢰가 훼손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디페깅(고정된 화폐가치를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과 대규모 상환 요구가 발생해 '코인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기술 오류, 범죄 악용 우려도 있다고 덧붙였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관련 제도와 인프라가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을 수 있다는 것이다.
통화정책의 유효성도 제약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은은 "스테이블 코인이 보편화될 경우 통화 신뢰성 저하, 은행의 신용창출 기능 약화 등이 초래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한은은 이번 보고서 내용이 원화 스테이블 코인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종한 한은 금융기관분석부장은 "스테이블 코인이 일반적으로 갖는 리스크 전반을 포괄적으로 정리한 것"이라며 "리스크의 크기와 파급력은 향후 제도 정비나 유통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info@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