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투데이 한지혜 기자] 브라질 정부가 소액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소득세 면제를 폐지하고, 모든 디지털 자산 수익에 대해 17.5%의 단일 세율을 적용하는 새로운 조세 정책을 시행했다.
15일(현지 시각)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브라질은 정부의 금융 시장 과세 확대 및 세수 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잠정조치 1303(Provisional Measure 1303)을 발표했다.
기존에는 브라질 거주자가 한 달간 3만5000헤알(약 6300달러) 이하의 암호화폐를 매도할 경우 소득세가 면제되었고, 초과분은 거래 규모에 따라 15%에서 최대 22.5%까지 누진 과세됐다. 하지만 이번 개정으로 6월 12일부터 모든 투자자에게 17.5%의 고정세율이 적용되며, 거래 금액에 상관없이 예외 없이 과세된다.
현지 언론 포르탈 두 비트코인(Portal do Bitcoin)에 따르면, 이번 조치로 인해 소규모 투자자들은 기존보다 높은 세 부담을 지게 되는 반면, 대규모 거래자나 고액 자산가들은 오히려 실질 세율이 낮아지는 효과를 보게 된다. 예컨대, 500만 헤알 이상의 거래에 대해 최대 22.5%까지 세금을 내던 기존 체계와 달리, 17.5% 고정세율이 적용되면서 절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번 잠정 조치는 단순한 세율 변경에 그치지 않고, 과세 대상 자체를 확대했다. 개인지갑(셀프 커스터디)에 보관된 암호화폐와 해외 거래소나 지갑에 보유한 디지털 자산도 모두 세금 부과 대상에 포함된다.
과세는 분기별로 이루어지며, 투자자는 최대 과거 5개 분기 동안의 손실을 상계할 수 있다. 다만, 2026년부터는 손실 상계 기간이 축소될 예정이다.
hjh@blockchaintoday.co.kr